경부고속도로 지하화, 어디가 뜰까?
• 강남·서초·분당 교통환경 개선
• 도심 단절 해소와 부동산 상승 기대
• 수혜 예상 지역별 투자 포인트 분석
[목차]
1️⃣ 지하화 추진, 얼마나 진척됐나?
2️⃣ 수혜 지역은 어디? 부동산 판도 변화 예고
3️⃣ 왜 이 사업이 중요한가?
4️⃣ 향후 변수와 주의사항은?
5️⃣ 결론: 어디에 주목해야 하는가?
🔍왜 좋은 곳은 계속 좋아질까?
• 경부고속도로 지하화, 지금 어디쯤?
• 강남 여기서 더 좋아진다고?
• 좋은 곳이 계속 좋아지는 이유
• 서울 계속좋아지는데 아직 늦지 않았습니다.
바로가기⬇️⬇️
1️⃣ 지하화 추진, 얼마나 진척됐나?
• 2025년 현재, 기흥~양재 구간 예타 통과 완료
• 경부고속도로 지하화는 총 2구간으로 나뉩니다.
• 양재~기흥 구간은 국가사업으로 추진되며 예비타당성 조사를 통과하였고 2027년 착공 예정입니다.
• 총 연장 26.1km, 3조 8천억 원의 예산이 투입됩니다.
• 서울 구간(양재~한남)은 민자 적격성 조사 중
• **서울시 구간(한남~양재)**은 민자 방식으로 추진되며, 현재 공공투자관리센터(KDI PIMAC)에서 민자 적격성 조사가 진행 중입니다.
• 복잡한 구조와 고가의 공사비로 인해 서울시와 정부의 협의가 필요한 상황입니다.
✔ 현재 서울시 구간은 구체적인 착공 시기는 확정되지 않았습니다.
2️⃣ 수혜 지역은 어디? 부동산 판도 변화 예고
• 성남 분당·용인 수혜 가능성 높음
• 경부고속도로로 인해 도심이 단절됐던 성남 분당, 용인 수지, 기흥 일대는 지하화로 도시 연결성과 환경이 개선됩니다.
• 특히 판교테크노밸리와의 연계로 기업 유입이 늘어날 가능성이 있으며, 주거 선호도가 상승할 수 있습니다.
• 강남 서초, 반포·서초동 대단지 아파트
• 서초구 반포동, 서초동, 잠원동 등은 지상 공간 공원화 계획이 반영되면서 주거 쾌적성 개선과 집값 상승 요인으로 작용할 수 있습니다.
• 서울 리니어 파크 조성 계획으로 고속터미널 일대 대형 개발과의 시너지가 기대됩니다.
✔ 강남대로~서초대로 일대는 업무지구 확대 기대감도 높아지고 있습니다.
3️⃣ 왜 이 사업이 중요한가?
• 극심한 정체 해소로 생활 질 향상
• 서울 강남권의 상습 정체 구간을 해소함으로써 출퇴근 시간 단축과 물류 효율성 향상이 예상됩니다.
• 도로 정체 해소는 단순한 교통 편익을 넘어 삶의 질 향상 및 지역 가치 제고와 직결됩니다.
• 개발과 인프라가 함께 움직이는 핵심 사업
• 롯데칠성 부지 개발, 반포 고속터미널 개발, 강남 고가 철거 사업 등과 맞물려 도시계획 시너지 효과가 큽니다.
✔ 도시 단절 해소, 쾌적성 상승, 개발 호재가 동시에 작용하는 '복합 호재 지역'입니다.
4️⃣ 향후 변수와 주의사항은?
• 공사비 증가와 민원 가능성
• 최근 자재비 상승으로 공사비가 증가하면서 사업성 논란과 착공 지연 가능성이 있습니다.
• 강남권 일부 지역 주민들의 민원 발생 가능성도 존재합니다.
✔ 민자사업의 경우 지역 여론과 사업성 확보가 관건입니다.
5️⃣ 결론: 어디에 주목해야 하는가?
• 2027년 착공 예정인 양재~기흥 구간은 가장 가시적인 수혜 지역
• 성남 분당·용인·강남 서초권은 중장기적으로 도시환경 개선 효과 기대
• 서울시 구간은 발표 시점과 개발 계획 발표에 따라 부동산 시장 반응이 크게 달라질 수 있음
✔ 지금부터 '지하화 수혜 예상 지역'에 대한 선제적 관심과 분석이 필요한 시점입니다.
마무리 핵심 정리
✔ 경부고속도로 지하화는 강남·서초·분당을 연결하는 핵심 인프라 사업입니다.
✔ 양재~기흥 구간은 2027년 착공 목표로, 부동산 수혜 가능성 높습니다.
✔ 서울시 구간은 민자 적격성 조사 중으로 향후 발표 시점 주목해야 합니다.
✔ 도시 단절 해소와 개발 호재가 맞물려 중장기 투자처로 눈여겨볼 만합니다.
같이 보면 좋은 글⬇️⬇️
'경제토탈' 카테고리의 다른 글
서울 아파트 입주절벽, 부동산 앞으로 벌어질 일들 (5) | 2025.07.21 |
---|---|
수도권제1순환고속도로 지하화 구리-성남 총정리 (4) | 2025.07.20 |
부산양산울산 광역철도 확정! 1시간권 개통 현실로 (3) | 2025.07.17 |
서울 쏠림현상, 입주공백 공급절벽 본격화 (1) | 2025.07.16 |
2호선 신정지선 김포 연장 경제성 확보 기대 (3) | 2025.07.15 |